프로그래밍을 잘하고 싶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? 그냥 업무 경험 쌓다 보면 저절로 실력이 늘까요? 아님 그냥 무조건 책을 읽으면 될까요? 아니면 그 책에 나온 코드를 계속 따라 쳐보면 될까요? 이렇게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고민하는 분들을 위한 강연입니다. 인지심리학의 한 분야인 "전문성 연구"(Expertise Research)에서는 어떤 조언을 해줄 수 있는지 이 강연으로 배워서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전문가가 되는 방법을 찾아보세요.
프로그래밍을 잘 하고 싶은 분들께 적합합니다
김창준: 현재 애자일 컨설팅 대표이고, 2000년경부터 기업과 개인 상대로 변화와 성장을 도와주는 일을 해오고 있다. 그 과정에서 조직이 전문성을 쌓고 평가하는 면에서 도움을 주는 컨설팅을 진행해 왔다. 다음카카오, NHN, 삼성전자, LG전자, LG생활건강, LG U+, SKT, SK플래닛, GS홈쇼핑, 엔씨소프트, 외교부, 한미 연합사령부, 국방부 등에 컨설팅과 교육을 제공한 바 있다. 2009년부터는 상대적으로 기업보다 개인 대상의 코칭으로 초점을 옮겨, 코칭 과정(http://ac2.kr )을 개발해 사람들의 전문성을 높여주는 과정을 운영 중이다.
제목 | 강의시간 | 시청 |
---|---|---|
프로그래밍,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| ||
강의 소개 | 16:05 | |
전문성에 대한 미신들 (1) | 23:10 | |
전문성에 대한 미신들 (2) | 19:39 | |
전문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들 | 22:12 | |
질답 : OOP와 영어공부, 코드 읽기 실력 | 22:33 | |
의도적 수련의 조건 (1) :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 배우기를 중심으로 | 17:52 | |
의도적 수련의 조건 (2) :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 배우기를 중심으로 | 22:09 | |
질답 : 낯선 기술, 짝 프로그래밍, 영어, 강의 듣기 | 29:21 | |
프로그래밍하는 사람을 위한 효과적 학습법 (1) : 교육심리학의 최근 연구 적용하기 | 33:19 | |
프로그래밍하는 사람을 위한 효과적 학습법 (2) : 프로그래밍 순서 | 21:43 |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