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원분산분석 결과 보고
사후분석을 진행한 경우
- 전체 모형에 대한 분석결과 보고
- 사용한 사후분석 방법에 대한 보고
- 유의미한 사후분석 결과들에 대한 보고
group에 따른 weight의 평균 차이는 유의미하였다(F(2, 27) = 4.846, p < 0.05). Tukey의 HSD를 이용하여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, trt1 조건과 trt2 조건에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었다(p < 0.05).
계획비교를 진행한 경우
- 사전 가설(들)에 대한 소개
- 대비계수 작성 과정에서의 특이사항 소개 (예. 표본의 비율 차이를 반영하였는지의 여부 등)
- 전체 모형에 대한 분석결과 보고
- 각 대비계수의 분석 결과 보고
- 4의 결과에 따른 각 사전 가설에 대한 평가/논의
대비계수를 이용하여 control group과 treatment group 간에 차이가 있는지, 또 treatment group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로 하였다. 분석 결과, group에 따른 weight의 평균 차이는 유의미하였다(F(2, 27) = 4.846, p < 0.05). 구체적으로 살펴보면, 우리의 예상과 달리 control group과 treatment group 들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(t(27) = -0.255, p > 0.05). 하지만 trt1 group과 trt2 group의 평균 차이는 유의미했다(t(27) = -3.103, p < 0.05).